대한민국 장애학생 및 장애인 자녀를 위한 장학금 제도의 취지, 지원 대상, 신청 방법, 꿀팁
장애학생 장학금: 장애학생 및 장애인 자녀를 위한 완벽 가이드
장애학생 및 장애인 자녀를 위한 장학금은 대한민국에서 장애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의 학업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 이 장학금은 장애학생과 장애인 가정의 자녀들이 교육 기회를 균등히 누리고, 학문적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글에서는 장애학생 장학금의 취지, 지원 대상, 서비스 내용, 신청 방법, 꿀팁, 그리고 부가 정보를 상세히 다루어 여러분이 이 기회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겠습니다.
1. 장애학생 장학금의 취지
장애학생 장학금은 장애로 인해 학업 환경에서 불리한 여건을 겪는 학생들에게 경제적·교육적 지원을 제공하여, 이들이 학업에 전념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대한민국 정부, 공공기관, 민간 기업, 그리고 비영리 단체들은 이러한 장학금을 통해 장애학생과 장애인 가정의 자녀들이 교육을 통해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특히, 이 장학금은 단순한 금전적 지원을 넘어 장애학생의 학습 환경 개선, 사회적 포용 증진, 그리고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을 목표로 합니다. 예를 들어, 쌍용곰두리 장학기금은 장애로 인해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1995년 설립된 기금으로, 장애학생의 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https://www.koddi.or.kr/intro/contri01_4.jsp)2. 지원 대상 (신청 자격)
장애학생 장학금은 장애학생 또는 장애인 가정의 자녀를 대상으로 하며, 지원 자격은 장학금 프로그램에 따라 다릅니다. 아래는 일반적인 지원 자격 요건입니다. (정확한 자격 요건은 각 프로그램의 공고를 확인하세요.)
- 장애학생: 「장애인복지법」 제2조에 따라 등록된 장애인으로, 국내 대학(학사, 석사, 박사 과정 포함) 또는 고등학교에 재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재학 중인 학생
- 장애인 자녀: 부모 중 한 명 이상이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등록된 장애인인 경우
- 성적 기준: 일부 프로그램은 직전 학기 성적이 100점 만점 기준 80점(B 학점) 이상이어야 하며, 장애학생의 경우 성적 기준이 면제되는 경우도 있음 (예: 국가장학금 Ⅰ유형)
- 경제적 기준: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또는 가정 형편이 어려움을 증명할 수 있는 학생 (예: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제출) [](https://www.koddi.or.kr/intro/contri01_4.jsp)
- 기타: 특정 장학금은 예체능, 정보통신, 기술 자격증 보유자 등 특기를 기준으로 선발
참고: 국가장학금 Ⅰ유형의 경우, 장애학생은 성적 및 이수학점 기준이 면제되며, 학자금 지원 9구간 이하인 학생이 신청 가능합니다.
3. 서비스 내용 (장학금 혜택)
장애학생 장학금은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여 학업과 생활을 지원합니다. 주요 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 등록금 지원: 학기당 등록금 전액 또는 일부 지원 (예: 국가장학금 Ⅰ유형은 소득 구간에 따라 차등 지원)
- 생활비 지원: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학생에게 월별 생활비 지원 (예: 쌍용곰두리 장학기금은 생활비 포함)
- 학습 보조: 장애학생을 위한 학습 보조기기, 보조공학기기 지원 (예: 화면해설, 폐쇄자막 제공)
- 도우미 지원: 이동 도우미, 수업 도우미 등 장애학생의 학업 활동 지원 (예: 한양대학교 장애학생지원센터)
- 교육 프로그램: 워크숍, 멘토링, 직업 교육 프로그램 참여 기회
예를 들어, 국가장학금 Ⅰ유형은 장애학생에게 성적 기준 면제를 제공하며, 소득 1~3구간 학생은 C 학점 경고제 적용으로 최대 2회까지 지원 가능합니다.
4. 신청 방법
4.1 신청 절차
장애학생 장학금은 주로 대학의 장애학생지원센터, 한국장학재단, 또는 민간 재단을 통해 신청합니다. 일반적인 신청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공고 확인: 한국장학재단(www.kosaf.go.kr), 대학 장애학생지원센터, 또는 민간 재단 웹사이트에서 공고 확인
- 지원 자격 확인: 본인의 장애 등급, 학적, 소득 구간 등이 자격 요건에 부합하는지 확인
- 서류 준비: 필요 서류를 준비하여 지정된 기한 내에 제출
- 대학 추천: 대부분의 장학금은 대학의 장애학생지원센터를 통해 추천 (개인 신청 불가인 경우도 있음, 예: 쌍용곰두리 장학기금)
- 심사: 서류 심사 및 필요 시 면접을 통해 장학생 선발
- 결과 발표: 선발 결과는 대학 또는 재단 웹사이트를 통해 발표
- 장학금 수여: 선발된 장학생은 장학금을 수령하며, 일부 프로그램은 수여식 참석 필수
4.2 신청 장소
신청 장소는 장학금 프로그램에 따라 다르며, 주요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대학 장애학생지원센터: 재학 중인 대학의 장애학생지원센터로 신청 (예: 한양대학교 soup.hanyang.ac.kr) [](https://soup.hanyang.ac.kr/home)
- 한국장학재단: 국가장학금은 www.kosaf.go.kr에서 온라인 신청
- 민간 재단: 쌍용곰두리 장학기금은 학교장 공문을 통해 신청
- 정부24: 일부 장학금은 www.gov.kr에서 신청 가능
4.3 신청 일시
신청 기간은 프로그램 및 대학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인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가장학금: 1학기 신청(2024년 11월 21일 ~ 12월 26일), 2학기 신청(2025년 2월 4일 ~ 3월 18일)
- 민간 장학금: 쌍용곰두리 장학기금은 상시 신청 가능하나, 대학별 공고에 따라 다름 [](https://www.koddi.or.kr/intro/contri01_4.jsp)
- 대학별 공고: 예를 들어, 경일대학교는 1학기(3월 중), 2학기(9월 중) 신청 [](https://stu.kiu.ac.kr/kiuzone/sub01/07.htm)
4.4 제출 서류
필요 서류는 프로그램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서류가 요구됩니다:
- 장학생 지원서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포함)
- 장애인 등록증 사본 또는 장애인복지카드 사본
- 성적증명서 (장애학생은 성적 기준 면제 시 제외)
- 가정 형편 증명 서류: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 차상위계층 증명서
- 가족관계증명서 (장애인 자녀의 경우)
- 활동 증빙 자료: 예체능, 정보통신, 국가기술자격증명서 사본 (특기 장학생의 경우)
- 학업 계획서 또는 자기소개서
- 추천서 (대학 또는 교수 추천, 필요 시)
주의: 서류는 A4 크기로 제출해야 하며, 장애인 등록증 사본은 유효기간 내 발급된 것이어야 합니다. 번역이 필요한 경우, 공증본을 추가 제출해야 합니다.
5. 신청 꿀팁
꿀팁 1: 장애인 등록 확인
장학금 신청 전, 본인 또는 부모의 장애인 등록 여부를 확인하세요. 장애인 등록은 주소지 관할 동주민센터에서 신청하며, 장애진단서와 검사결과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꿀팁 2: 국가장학금 필수 신청
대부분의 장애학생 장학금은 국가장학금 신청을 전제로 합니다. 소득 구간과 관계없이 반드시 국가장학금을 신청하세요. (신청 기간: 2025년 2월 4일 ~ 3월 18일)
꿀팁 3: 대학 장애학생지원센터 적극 활용
대학의 장애학생지원센터는 장학금 신청뿐만 아니라 학습 보조, 도우미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센터에 문의하여 지원 가능한 모든 혜택을 확인하세요.
[](https://soup.hanyang.ac.kr/home)꿀팁 4: 서류 준비 철저히
경쟁률이 높은 장학금의 경우, 서류의 완성도가 중요합니다. 가정 형편 증명 서류와 활동 증빙 자료를 꼼꼼히 준비하고, 학업 계획서는 구체적으로 작성하세요.
꿀팁 5: 마감 기한 엄수
서류 제출 기한을 엄수하세요. 예를 들어, 국가장학금 서류 제출 기한은 2025년 1월 2일까지이며, 늦을 경우 심사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6. 부가 정보
장애학생 장학금은 다양한 기관에서 제공되며,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가장학금 Ⅰ유형: 장애학생에게 성적 기준 면제, 소득 9구간 이하 대상
- 쌍용곰두리 장학기금: 장애학생 대상, 학업 성적 우수 및 가정 형편 어려운 학생 지원
- 대학별 장학금: 예를 들어, 부경대학교는 중증 장애인 재학생 5명 이내 지원
또한, 장애학생은 대학의 장애학생지원센터를 통해 학습 보조기기, 이동 도우미, 수업 도우미 등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대학교는 지정석 운영, 경사로, 점자블록 등 편의시설을 제공합니다.
장애인 등록이 필요한 경우, 주소지 관할 동주민센터에서 「장애인 등록 및 서비스 신청서」와 장애진단서를 제출하여 등록할 수 있습니다. 등록 후 장애인복지카드를 발급받아 장학금 신청 시 활용하세요.
7. 결론
장애학생 및 장애인 자녀를 위한 장학금은 학업과 생활의 부담을 줄이고, 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소중한 기회입니다. 국가장학금, 민간 재단, 대학별 프로그램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지원받을 수 있으므로, 자격 요건과 신청 절차를 꼼꼼히 확인하여 준비하세요. 장애학생지원센터와 같은 자원을 적극 활용하고, 서류 준비와 마감 기한을 철저히 지킨다면 성공적인 장학금 신청이 가능할 것입니다. 이 가이드를 참고하여 여러분의 학업 여정에 한 발짝 더 나아가길 바랍니다!
scholarship, disability
댓글
댓글 쓰기